경동맥 협착증의 증상과 진단 및 치료 방법
경동맥 협착증이란?
경동맥 협착증은 경부의 경동맥의 혈관 협착으로 인해 뇌 혈류량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두개 내 색전의 원인이 되거나 뇌경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협착의 정도가 심해지면 추속 뇌경색 예방을 위해 외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대표적인 치료로는 경동맥 내막 절제술(Carotid endarterectomy : CEA)이 있습니다. 내복약만으로 치료하는 내과적 치료와 CEA(외과적 치료)를 비교하였을 때 후속 뇌경색의 발병 예방으로서는 CEA 쪽이 뛰어나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이때문에 CEA는 널리 행해지고 있습니다. CEA의 수술 위험이 높다 생각되거나 마취의 위험성이 높다 생각되는 경우 경동맥 스텐트라는 혈관 내 치료도 행해지고 있습니다.
현대인의 식습관과 사회생활을 감안하면 경동맥 협착증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앞으로도 주목받는 질병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대표적인 증상
경동맥 협착증에 의해 혈전이 생겨 두개 내 혈관에 혈전이 이동하여 뇌혈관을 폐색시킵니다. 종종 의식 장애, 구음 장애, 편마비, 지각 장애, 실어증 등을 발현 시키키도 합니다.
증상 중에는 24시간 이내에 증상이 완전히 사라져 버리는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일과성 허혈 박작이라고 하지만, 이 역시도 뇌경색의 전조로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혈전이 눈의 혈관을 폐색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한쪽 시력이 고도로 떨어지고 갑자기 물건이 보이지 않게 되면서 눈 내측의 통증을 호소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흑내장이라고 하며 경동맥 협착증에서 많이 보이는 증상입니다.
경동맥 협착증 진단 방법
혈관 조영술 : 대퇴부 또는 상완 동맥에 얇은 튜브 형태의 카테터를 삽입하여 혈관의 모양을 관찰합니다.
3D-CTA : 약 100cc의 조영제를 상완 정맥에 단시간에 주입하여 CT로 경동맥을 촬영합니다.
치료 방법
경동맥 내막 절제술
전신 마취하에 영향을 받은 목을 흉쇄 유돌근을 따라 절개합니다.
그 후는 총경동맥, 외경동맥, 내경동맥을 확보하고 혈행 차단을 하여 병변부의 동맥 절개를 실시합니다. 혈행 차단 중에는 뇌의 혈류를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뇌의 혈류를 확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현미경으로 내막과 중막을 세밀하게 박리하여 죽종을 적축합니다.
죽종 절제 후 혈관 벽을 봉합합니다. 그대로 실로 봉합하여 닫는 방법과 패치라는 인공 혈관을 이용하여 절개 부를 확장시켜 닫는 방법이 있습니다.
경동맥 스텐트
대퇴부에서 카테터를 삽입하여 협착부에 도달합니다. 협착 부위의 뇌 측에는 스텐트 확장했을 때에 혈전이 뇌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우산 상의 것이나 풍선 상의 프로텍티브 디바이스라고 하는 기재로 혈전을 포획합니다.
협착부에서는 스텐트를 확장시켜 협착부의 치료를 실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