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 치료 방법
역류성 식도염에 대하여
최근 역류성 식도염을 앓는 환자들이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위산이 접촉하지 않는 식도는 강산 산성 성분을 나타내는 위산에 대한 보호 기능이 없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궤양이 발생하거나 가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과 합병증은 무엇이 있는지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과식, 과음, 흡연, 비만, 수술 후유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역류성 식도염은 바렛식도, 수면장애 등과 같은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바렛 식도 : 식도 점막이 위산의 역류에 의해 위의 점막과 유사하게 변성해 버리는 것입니다. 바렛식도는 식도암으로 진전하는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수면 장애 : 누워서 잠을 자면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이 심해지고, 가슴에 통증을 느껴 깊은 수면이 힘들어집니다. 때문에 수면이 저해되는 등의 수면 장애가 발생합니다.
역류성 식도염과 음주, 흡연의 관계
알코올은 위의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하부 식도 괄약근'의 기능을 약하게 하고, 식도의 음식을 내려 보내는 '연동 운동'의 작용을 저해합니다.
위산이 역류하기 쉽고 식도에 머물기 쉬워 역류성 식도염의 위험을 높입니다.
담배에 포함된 니코틴은 위산의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습니다. 위산의 분비량이 과잉되면 식도로의 역류가 발생하기 쉬어져 역류성 식도염의 위험을 높입니다. 또한 흡연은 타액(침)의 분비량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역류해 온 위산에 의해 식도가 직접적으로 상처를 입게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생활 습관 개선 방법은?
역류성 식도염은 약과 생활 습관, 식습관 등의 개선으로 치료합니다.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 식도와 위 기능의 정상화를 촉진하는 약, 식도 점막 보호약 등을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는 생활 습관, 식습관의 재검토를 통해 올바른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 습관 개선으로는 복부의 조임이 강한 복장, 벨트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취침 시에는 신체 우측을 아래로 하며, 상반신을 높여 위산의 역류를 막는 것이 좋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식습관 개선 방법은?
식습관의 개선으로는 지방이 많은 음식을 삼가하고, 알코올, 커피, 신맛이 나는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과식을 피하고 흡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취침 전 2시간 정도는 식사를 섭취하지 않도록 합니다. 음식이 위로 들어가면 위산이 분비되기 때문에 식사 후 누워 버리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기 쉬워집니다.
양배추, 양상추, 아스파라거시, 브로콜리, 샐러리, 토마토 등에 포함된 비타민은 점막을 복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부족한 분은 적당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